연합뉴스-충청도 절터 374곳 정보 담은 보고서 '한국의 사지'발간
2018-03-08
연합뉴스-충청도 절터 374곳 정보 담은 보고서 '한국의 사지'발간
불교문화유산연구소는 불교문화유산에 대한 조사와
연구를 바탕으로 그 가치를 드높이는 한편,
보존·관리에도 힘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불교문화유산연구소는 불교문화유산에 대한 조사와 연구를 바탕으로
그 가치를 드높이는 한편, 보존·관리에도 힘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협력기관 대한불교조계종 | 국가유산청 |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중앙박물관 | 유네스코한국위원회 | 문화체육관광부
재단법인 불교문화유산연구소
(03147)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일대로 461
운현궁SK허브 102동 104호
전화 │ 02-735-9944 팩스 │ 02-735-9974
이메일 │ buddha4u@buddhaculture.co.kr
ⓒ (재)불교문화유산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재단법인 불교문화유산연구소
(03147)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일대로 461 운현궁SK허브 102동 104호
전화 │ 02-735-9944 팩스 │ 02-735-9974
이메일 │ buddha4u@buddhaculture.co.kr
ⓒ (재)불교문화유산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SITE BY 스튜디오산책
충청도 절터 374곳 정보 담은 보고서 '한국의 사지' 발간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문화재청은 불교문화재연구소와 함께 지난해 대전, 세종, 충남 지역에서 진행한 절터 기초조사사업의 성과를 수록한 보고서 '한국의 사지(寺址) - 대전광역시·세종특별자치시·충청남도'를 발간했다고 5일 밝혔다.
보고서에는 보령 성주사지, 논산 개태사지 등 국가지정문화재와 시도지정문화재로 지정된 절터 26곳과 문화재로 지정되지 않은 절터 348곳 등 374곳에 대한 각종 정보가 담겼다.
특히 아산 신봉리사지 2·3과 서산 보현사지 등 기존에 거의 알려지지 않았거나 소재가 파악되지 않은 절터 20곳의 설명도 실렸다.
절터별로 과거 절이 있었던 구역, 유물과 유구(遺構·건물의 자취), 식생,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좌표를 정리하고, 항공사진과 문화재 사진을 첨부했다. 절터와 관련된 다양한 문헌도 게재했다.
아울러 2014년과 2017년 조사 결과를 반영한 '사지 분포현황 지도'가 별책으로 제작됐다.
두 기관은 보고서를 지자체, 매장문화재 조사기관, 대학 도서관 등에 배포하고 문화재청 누리집(www.cha.go.kr)에도 올릴 방침이다.
절터 조사사업은 2010년 시작됐으며, 올해는 충남과 충북의 절터 490여 곳을 대상으로 조사가 진행된다. 올해 사업이 끝나면 전국 절터의 71%가 조사된다.
psh59@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2018/03/05 11:24 송고
Copyright (C) Yonhapnews. All rights reserved.